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알림마당

생명을 살리는 한국교통방송

주요뉴스

"대구지하철 15년 흘러도 달라진 게 없다"

2018/06/22 14:22
정부가 대구지하철참사의 핵심 원인을 인적 문제로 보면서도
이후 안전 대책은 기계적 보완에 그치고 있어
제2의 참사를 막기 위한 현실적 대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대구교통방송 박정우 기자입니다.

2003년 2월 18일 대구지하철1호선 중앙로역에서 일어난 참사는 방화 행위로 시작됐습니다. 이후 사고를 막아주는 역할을 해야 할 안전시스템이 무너져 참사로 확대됐습니다. 대구시는 참사의 핵심 원인을 현장 인력들의 초동 대처 실패와 매뉴얼 위반, 즉 인적 문제에 있었다고 백서를 통해 기술했습니다. 하지만 안전 대책의 대다수는 내장재와 소방 설비 등 기계적 보완에 그쳤습니다.

대구지하철참사 15주년을 맞아 2.18안전문화재단이 ‘대구지하철 안전은 얼마나 달라졌는가’를 주제로 지난 20일 대구도시철도공사에서 마련한 토론회에서 이승우 세월호선체조사위원회 전문위원은 주제발표를 통해 “상명하복의 수직적 조직문화가 사고를 참사로 확대한 원인이 됐지만 여전히 달라진 것이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기관사는 역사에 불이 난 것을 알면서도 사령의 지시에 따라 진입할 수밖에 없었고 유독가스가 퍼지고 전기가 끊어지는 상황에서도 스스로 판단을 내릴 권한이 없었습니다. 부족한 인력으로 정시운행을 지키려는 과정에서 발생한 구조적 문제입니다. 15년이 지난 지금도 다르지 않습니다. 직원 1인당 영업수익 등 생산성을 중시하는 공기업 경영평가 제도가 공적 안전관리체계를 허무는 요인이 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이승우 위원은 긴급한 순간에 현장 노동자가 징계에 대한 두려움 없이 자율적으로 적절한 대처를 재량껏 할 수 있는 유연한 의사결정의 안전문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CUT1] "아무리 관리체계를 잘 만들어도 좋은 안전문화가 없으면 소용없다."

이번 토론회에는 한국YMCA전국연맹과 대구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 대구지하철노동조합, 공공네트워크 등이 참석했습니다. 토론자들은 지하철 안전을 관료와 생산자만 독점하는 현실을 경계하면서 시민이 감시하고 참여하는 노사민정 안전거버넌스 구축을 제안했습니다. TBN뉴스 박정우입니다.